맨위로가기

제187보병연대 (미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187보병연대(미국)는 "락카산"이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미 육군 부대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 주둔 당시 일본어로 낙하산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이 연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여 숙천과 순천에서 공수 작전을 수행했으며, 6.25 전쟁 70주년 기념 퀴즈에서 활약한 미 육군 공수부대로 언급되기도 했다. 한국 전쟁 이후 제11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되었으며, 현재는 제101공수사단에 소속되어 있다. 제187보병연대는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다양한 군사 작전에 참여했으며, 주요 지휘관 및 참전 용사들이 존재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걸프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7기병연대 (미국)
    제7기병연대는 1866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기병 연대로, 인디언 전쟁, 미국-필리핀 전쟁, 한국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사단에 배속되어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 한국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65보병연대
    푸에르토리코 출신 군인들로 구성된 미국 육군 제65보병연대는 1899년 창설되어 여러 전쟁에서 공을 세웠으나 한국 전쟁 중 집단 군사 재판을 겪기도 했으며, 2016년 미국 의회 금메달을 수여받았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75레인저연대
    제75레인저연대는 미군의 정예 연대급 부대로, '레인저'라는 명칭은 정예부대의 상징으로 여겨져 각 전쟁마다 강인한 부대들에게 붙여졌으며, 주요 군사 작전에 투입되어 혁혁한 공을 세웠고, 현대에는 신속한 deployment에 특화된 3개의 레인저 대대로 편성되어 있다.
  • 베트남 전쟁에 참전한 미국의 연대 - 제7기병연대 (미국)
    제7기병연대는 1866년 창설된 미국 육군의 기병 연대로, 인디언 전쟁, 미국-필리핀 전쟁, 한국 전쟁 등 여러 전쟁에 참전했으며, 현재는 다양한 사단에 배속되어 정찰 임무를 수행한다.
제187보병연대 (미국)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개요
부대 명칭제187공수보병연대
별칭라카산 (Rakkasans)
표어"" (용기가 실패하지 않게 하라)
창설일1943년
소속미국 육군
규모연대
역할공중 강습
현재 주둔지포트 캠벨
소속 사단101 공수 사단
특별 부대 지정https://www.history.army.mil/html/forcestruc/spdes-123-ra_ar.html
187보병연대 문장
부대 문장
187보병연대 식별 표지
고유 부대 휘장
1대대-187보병연대 배경 장식
1대대 배경 장식
3대대-187보병연대 배경 장식
3대대 배경 장식
참전
주요 참전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1958년 레바논 위기
걸프 전쟁
데저트 포커스 작전
아프가니스탄 전쟁
아나콘다 작전
이라크 전쟁
이라크 자유 작전
훈장
수훈 내역대통령 부대 인용 (미국)
용맹 부대 표창
공훈 부대 표창
필리핀 공화국 대통령 부대 표창
대한민국 대통령 부대 표창
과거 지휘 구조 (1942–1945)
소속 부대11 공수 사단
하위 부대제187글라이더보병연대
제188글라이더보병연대
제511낙하산보병연대

2. 역사

"락카산"이라는 별명은 낙하산의 일본어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187보병연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을 때 붙여졌다. 당시 지역 주민들은 공수부대가 무엇인지 몰라 제187보병연대를 낙하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3]

제187보병연대는 한국 전쟁, 베트남 전쟁, 걸프 전쟁,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 여러 주요 전쟁에 참전했다.

한국 전쟁 70주년을 기념해 미국 국방부가 낸 퀴즈에서 "6·25전쟁에서 활약한 미 육군 공수부대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으로 제187공수연대(당시 제11공수사단 소속)가 나왔다. 6·25전쟁 이후 제187보병연대는 제11공수사단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자주 변경되다가 1964년, 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2. 1. 제2차 세계 대전

"락카산"이라는 별명은 낙하산의 일본어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187보병연대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을 때 붙여졌다. 당시 번역자가 일본어로 공수부대가 무엇인지 몰라 강하병, 또는 낙하산이라고 설명했고, 이 때문에 지역 주민들은 제187보병연대를 낙하산이라는 별칭으로 부르게 되었다.[3]

제187연대는 1942년 11월 12일 제187 글라이더 보병 연대로 창설되었으며,[2] 1943년 2월 23일 노스캐롤라이나주 캠프 맥콜에서 활동을 시작했다. 제187연대는 두 개의 대대로 구성된 글라이더 연대로 제11공수사단에 배속되어 글라이더 및 공수 부대원으로 훈련받았다. 1944년 1월 9일 캠프 폴크에서 글라이더 훈련을 받았고, 1944년 4월 29일 캘리포니아주 캠프 스토니먼에 주둔했으며, 1944년 5월 6일 샌프란시스코 출항 항구에서 출발했다.

1944년 5월 29일 뉴기니에 도착하여 뉴기니 전역에 참전했고, 1944년 11월 11일 뉴기니를 떠나 1944년 11월 18일 레이테 섬에 도착하여 레이테 전투에 참전했다.

1945년 1월 31일 바탕가스주 나수그부를 공격하며 루손 전투에 참전, 남쪽에서 마닐라로 진격하는 일본군을 차단했다. 이후 1945년 4월까지 니콜스 비행장, 포트 윌리엄 맥킨리, 마닐라에서 마운트 마콜로드와 말레푸뇨까지 전투를 벌였다.

1945년 5월, 다운폴 작전을 준비하기 위해 리파 시로 이동하여 재정비 및 재편성했다. 이때 제3대대가 창설되었고, 연대는 공수-글라이더 연대로 재지정되었다.

1945년 6월 1일부터 1945년 7월 27일까지 마닐라에서 헌병총감, 미 육군 극동군에 배속되었다. 1945년 7월 4일 필리핀에서의 작전이 완료되었고, 1945년 8월 12일 점령 임무를 위해 오키나와 섬으로 이동했다. 이때 일본어로 "낙하산"을 의미하는 "락카산(Rakkasan)"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는데, 당시 일본 본토에 낙하산을 타고 투입된 유일한 부대였기 때문이다. 병사들이 토리이(鳥居)가 있는 지역 랜드마크에 가까이 착륙하면서 제187연대는 토리이를 부대 정체성의 비공식적인 일부로 채택했다. 1945년 8월 14일 전쟁이 종료된 후, 1945년 8월 30일 일본으로 이동했으며, 최초로 일본에 진입한 외국 지상 전투 부대였다고 전해진다.[3]

1949년 4월, 제187연대는 미국으로 돌아와 켄터키주 캠프 캠벨에 주둔했다.[3] 1949년 6월 30일 제187 공수 보병 연대로 재지정되었으며, 제1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2] 1950년 초, 제187연대는 역사상 최대 규모의 평화 시 공중 기동 훈련인 "스웜 작전"에 참여했다.

2. 2. 한국 전쟁

제403 TCW C-119가 1952년 한국 상공에서 제187 RCT를 투하하고 있다.


제187 공수 연대 전투단 (공수)의 견장 패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던 제187보병연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2] 당시 제11공수사단 소속이었던 제187공수연대는 1950년 10월 20일, 북한군 수뇌부 생포와 퇴로 차단, 유엔군 포로 구출을 목적으로 평양 북방 숙천순천에서 공수 작전을 펼쳤다.[2]

제187 보병연대는 한국 전쟁 위기에 대응하는 공수 연대 전투단으로 선정되었다. 1950년 8월 1일 지원 부대가 추가되면서 제187 공수 연대 전투단(ARCT)이 되었고, 1950년 9월 20일 일본에 도착했다.[2] 제3대대 선발대는 9월 23일 김포 비행장에 도착하여 한국에 가장 먼저 도착했으며, 9월 24일 제1해병사단의 작전 통제를 받게 되었다. 이는 1950년 9월 17일 더글러스 맥아더인천 상륙 작전이 있은 지 거의 일주일 만에 제7해병연대 제2대대를 대체한 것이다.[2]

1950년 10월 20일, 제187연대는 북한 영주 전투의 일환으로 숙천과 순천 근처에서 성공적인 전투 강하를 실시했다. 공식적인 목적은 평양에서 도주하는 북한 정부 관계자를 체포하고 평양에서 중국-북한 국경으로 이동하는 미군 전쟁 포로를 구출하는 것이었으나, 두 가지 목표 모두 달성하지 못했다. 이후 수안, 원주, 개성, 문산, 인제에서 전투가 이어졌다.[2]

1951년 3월 23일, 제187 보병연대는 작전명 토마호크의 일환으로 한국에서 두 번째이자 마지막 공수 공격을 이끌었다.[2]

토머스 J. H. 트래프넬 준장 지휘하에 1951년 6월 26일 일본으로 재배치되어 전략 예비대가 되었지만, 1952년 5월 24일 거제 포로 수용소에서 발생한 포로 봉기를 진압하기 위해 한국으로 돌아왔다. 당시 수감자들은 프랜시스 도드 수용소장(준장)을 1952년 5월 7일부터 4일 동안 인질로 잡고 있었다. 이후 1952년 10월 18일 다시 일본으로 돌아갔고, 1953년 6월 22일 마지막으로 한국에 돌아왔다. 1952년 말부터 1953년까지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준장(훗날 대장)이 제187 보병연대를 지휘했다. 이 부대는 1955년 7월 미국으로 돌아왔고, 이듬해 새로 재편성된 제101공수사단 (켄터키주 캠프벨 기지)의 일부가 되었다.[2]

제187 공수 연대 전투단(ARCT) 구성 부대는 다음과 같다.[2]

부대
제187 공수 보병 연대
제674 공수 야전 포병 대대 (105mm)
제88 공수 대공포 포병 대대 "A" 포대
제127 공수 공병 대대 "A" 중대
제11공수 헌병 중대 파견대
제11공수 병참 중대 파견대
낙하산 정비 중대
제11공수사단 수색대
제11공수 의무 대대 구급 중대, 1개 소대
제11공수 의무 대대 정리 중대, 1개 소대
제2348 병참 공수 포장 및 재보급 중대
제2 및 제4 레인저 보병 중대 (공수) (1951년 3월 3일 – 1951년 4월 4일)
제5 극동군 전술 연락 사무소 팀, 제8177 육군 부대 (전술 정보)



제11공수사단의 제511 PIR의 많은 병력이 해외 배치를 위해 제187 ARCT의 완전한 전력을 보충하기 위해 전출되었다.[4]

한국 전쟁에서 제187 보병연대 소속 4명이 명예 훈장을 받았다. 레스터 해먼드, 주니어(KIA) 일병, 로돌포 P. 에르난데스 상병, 조 R. 발도나도(KIA) 상병, 리처드 G. 윌슨(KIA) 일병이 그들이다.[5]

2. 3. 한국 전쟁 이후

"락카산"이라는 별명은 낙하산의 일본어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을 때 붙여진 이름이다. 당시 지역 주민들은 제187보병연대를 낙하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3]

한국 전쟁 70주년을 기념해 미국 국방부가 낸 퀴즈에서 "6·25전쟁에서 활약한 미 육군 공수부대는 어디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정답으로 제187공수연대(당시 제11공수사단 소속)가 나왔다. 1950년 10월 20일, 제187공수연대는 국군과 유엔군이 북진 중일 때 북한군 수뇌부 생포, 퇴로 차단, 유엔군 포로 구출을 목적으로 평양 북방 숙천순천에서 공수 작전을 펼쳤다.

6·25전쟁 이후 제187보병연대는 제11공수사단과 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자주 변경되다가 1964년, 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1957년, 펜토믹 개념 도입으로 연대와 대대가 전투단으로 대체되면서 제187공수보병연대의 A, B, C 중대는 각각 제1, 제2, 제3공수 전투단, 제187보병의 본부중대로 재지정되었다. 제1공수 전투단, 제187보병은 1957년 3월 1일부터 1958년 7월 1일까지 독일에서 제11공수사단에 배속되었고, 이 기간 동안 제11사단은 해산되고 제24보병사단으로 재편성되었다. 제24사단 배속 기간 동안 레바논 개입에 참여했다. 1959년 2월 8일, 제24사단에서 해제되어 미국으로 복귀했고, 제82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 1964년 5월 25일 해체되었고, 동시에 1964년 2월 1일 조지아주 포트 베닝에서 제11공중강습사단의 일부로 편성 및 창설된 제1대대, 제187보병과 통합되었다. 통합된 부대는 제1대대, 제187보병으로 지정되어 제11공중강습사단(시험)의 일부가 되었다. 1965년 6월 30일, 제11공중강습사단과 제2보병사단이 통합되어 제1기병사단(공중기동)이 창설되면서 해체되었고, 이 과정에서 제11사단과 제2사단의 부대들은 새로운 명칭으로 재편성되었다.

제2공수 전투단, 제187보병은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된 채로 남아 있었으며, 육군이 여단 및 대대 체제를 선호하여 펜토믹 구조를 포기함에 따라 1964년 2월 1일 해체되었다.

제3공수 전투단, 제187보병은 펜토믹 시대에는 활동하지 않았다. 1963년 2월 1일, 부대기는 조지아주 포트 베닝의 제11공중강습사단(시험)에 배속된 제3대대, 제187보병의 본부중대로 재지정되었고, 1963년 2월 7일 활동을 시작했다.[3] 다음 해 동안 제3대대, 제187보병연대는 육군의 공중기동 개념을 검증하는 데 도움을 주는 시험 부대로 활동했다. 1964년 2월 1일 제11사단에서 해제되었고, 부대기는 켄터키주 포트 캠벨의 제101공수사단에 배속되었다. 병력이나 장비의 이동은 없었으며, 대신 포트 베닝에 있던 기존의 제3-187보병이 제1-187보병으로 재편성되었다.

2. 4. 베트남 전쟁

1964년 2월, 라카산 부대는 켄터키주 포트 캠벨로 복귀하여 101 공수 사단 제3여단에 배속되었다.[3] 1967년 12월, 제3대대는 506 보병 연대의 제1대대 및 제2대대와 함께 베트남에 배치되었다.[3] 이후 4년 동안, 아이언 라카산 부대는 12번의 주요 작전에 참전하여 수많은 공중 강습과 수색 및 섬멸 임무를 수행했다. 1968년 3월, D 중대 지휘관 폴 W. 부차 대위는 베트남 푸옥 빈 인근에서 수류탄으로 기관총 진지를 단독으로 파괴하기 위해 총알이 빗발치는 곳을 기어간 공로를 인정받아 명예 훈장을 수여받았다.[3] 제3대대가 포트 캠벨로 귀환했을 때, 부대는 트랑 방 전투와 동 아프 비아 산 전투(일반적으로 "햄버거 힐"로 알려짐)에서 2개의 용맹 부대 훈장과 3번째 및 4번째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으며 그 명성을 드높였다.[3] 아이언 라카산 부대는 베트남 전쟁에서 가장 많은 훈장을 받은 공수 대대로 명성을 떨쳤다.[6]

남베트남에서의 임무[7]

행정 본부전방 본부도착주요 지휘부
제3-187 보병 연대는 1967년 12월 16일 베트남에 도착했다.
푸옥 빈푸옥 빈1967년 12월제3여단, 101 공수 사단
닥 토1968년 6월
구찌1968년 7월
롱 빈1968년 10월제3여단, 101 공수 사단 (공중 이동)
비엔호아퐁디엔현, 껀터1968년 11월
타밧1969년 7월
아사우 계곡베르히테스가덴 기지1969년 8월
비엔호아타밧1969년 9월
퐁디엔1969년 10월
마이록1969년 11월
퐁디엔퐁디엔1969년 12월
후에푸바이1970년 9월
캠프 캐롤캠프 캐롤1971년 3월
1971년 4월제1여단, 제5 보병 사단 (기계화)
후에푸바이1971년 5월제3여단, 101 공수 사단 (공중 이동)
1971년 8월미 육군 부대, 군사 지역 2
1971년 11월제3여단, 101 공수 사단 (공중 이동)
제3대대, 제187 보병 연대는 1971년 12월 10일 베트남을 떠났다.



1969년 5월 10일부터 20일까지 아사우 계곡의 937고지에서 벌어진 제3-187 보병 연대의 활약상은 1987년 영화에서 고지의 별명인 햄버거 힐을 제목으로 하여 묘사되었다. 이 작전으로 부대는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

2. 5. 베트남 전쟁 이후

101 공수 사단이 베트남 전쟁에서 귀환했을 때, 대부분의 병력은 캘리포니아주 오클랜드 또는 워싱턴시애틀에 도착하자마자 제대했다. 남은 병력은 주로 참모 장교 및 선임 부사관으로 구성된 지휘 그룹이었고, 이들은 켄터키주 포트 캠벨의 빈 건물을 사용했다.

101 공수 사단이 재건될 때, 별도의 173 공수 여단이 해체되었고, 그 자산은 1-503 보병대대, 2-503 보병대대, 3-187 보병대대로 구성된 공수 부대인 제3 여단을 형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부분적인 공수 능력은 사단의 지원 부대에도 적용되었다. 이는 1974년 4월까지 지속되었으며, 제3 여단의 강하 자격이 종료되었고, 그해 말에 공수 배지(나중에 공중 강습 배지로 명칭 변경)가 도입되었다.

1983년 10월, 1, 2, 4 대대, 187 보병 연대가 창설되었고, 1984년 11월 21일에는 제5 대대가 창설되었다. 제1, 2 대대는 파나마의 제193 보병 여단에 배속되었고, 제3, 4, 5 대대는 포트 캠벨의 101 공수 사단(공중 강습)에 배속되었다. 제4, 5 대대는 기존의 1-503 및 2-503 대대를 재지정하여 창설되었으며, 곧 제2보병사단(미국) 내 한국에서 재활성화되었다. 파나마에 주둔한 2-187 대대는 대대 내에 공수 중대(Moatengators)를 포함했으며, 이후 강하 자격이 대대 전체로 확대되었다. 2-187 대대는 187 연대의 마지막 공수 대대였다. 1987년 미국 육군의 전투 부대 재편 과정에서 제1, 2 대대가 해체되었고, 제5, 4 대대가 각각 제1, 2 대대로 재지정되었다.

1984년 7월부터 1985년 1월까지, 제4 대대는 TF-4-187 (Rakkasan Raiders)로 재편성되어 다국적군 및 감시단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집트 시나이 사막에 미국의 파견대로 배치되었다.

1988년 9월부터 1989년 3월까지, 제1 대대는 TF 1-187로 재편성되어 다국적군 및 감시단 평화 유지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 이집트 시나이 사막에 미국의 파견대로 배치되었다.

2. 6. 걸프 전쟁

1990년 9월, 라카산은 사막의 방패 작전 기간 동안 사우디 아라비아에 배치되었다. 1991년 2월, 제1대대 소속 두 개 중대가 목표 지점 웨버에 대한 공중 강습 작전에서 434명의 이라크 군인을 생포했으며, 2월 25일, 라카산은 역사상 가장 깊고 가장 큰 규모의 공중 강습 작전을 수행했다. 적진 뒤 약 249.45km 지점인 유프라테스 강 계곡으로 진격한 이 강습은 이라크군의 격퇴를 이끌어냈고, 연합군의 완전한 승리에 기여했다. 이 부대는 사막의 폭풍 작전 기간 동안 다른 어떤 부대보다 더 북쪽으로 이동했다.

2. 7. 걸프 전쟁 이후

1991년부터 1993년까지 제3-187연대는 데이비드 H. 페트레이어스 중령(후에 장군)의 지휘를 받았으며, 그는 자신이 만든 체력 훈련 시험을 따서 대대를 "아이언 라카산"으로 개명했다. CSM 도널드 퍼디는 이 기간 동안 대대 주임원사였다.

1995년, 아이언 라카산 대대는 제3-187 태스크 포스로 편성되어 1995년 7월 시나이 반도에 배치되었다. 아이언 라카산은 C구역의 남쪽 부분을 담당했으며, 이집트 샤름 엘 셰이크의 사우스 캠프에 주둔했다. 배치 기간 동안, 그들은 구역 통제 센터 근처에서 발생한 사고의 사상자를 구조하고 다국적군 헬리콥터를 이용하여 병원으로 후송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1995년 11월 23일, 규모 7.3의 아카바만 지진이 시나이 반도를 강타했다. 아이언 라카산은 다시 반도 전역에서 도로 정찰 및 구조 작전을 수행했다. 아이언 라카산은 배치 기간 동안의 활동으로 육군 우수 부대상을 받았다. 부대는 1996년 1월 미국으로 귀국했다.[8]

1996년 9월, 레이더 라카산(제2대대)의 일부인 알파 중대 "블랙호크", 찰리 중대 "하드 록", 브라보 중대 "워리어"는 1997년 4월까지 사우디아라비아에 배치되어 작전 사막 집중 작전을 지원했으며, 다란과 리야드에서 원격 프린스 술탄 공군 기지, 캠프 이글 타운 II로 재배치된 사우디아라비아 내 미국 공군 자산을 지원하여 미군 인력에 대한 병력 보호를 제공했다. 이 이사의 목적은 병력 보호였으며, 1996년 6월 25일 코바르 타워에서 발생한 테러 폭탄 공격으로 19명의 공군이 사망하고 많은 부상자가 발생한 사건 이후에 이루어졌다. 미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관계자는 4,000명 이상의 미군을 재배치하는 데 드는 2억달러의 비용을 분담하기로 합의했다. 제2대대 병사 중 일부는 무력 원정군 메달, 육군 표창 메달을 받았으며, 부대는 육군 우수 부대상을 받았다. LTC 투미는 대대장이었다.[9] 제1/187연대의 일부는 1997년 9월부터 12월까지 사우디에 배치되어 작전 사막 독수리의 일부였다.

2000년 2월부터 2000년 8월까지 제1-187연대는 작전 연합 수호자 지원을 위해 태스크 포스 팔콘의 일환으로 코소보에 평화 유지 작전을 위해 배치되었다.

2. 8. 아프가니스탄 전쟁 및 이라크 전쟁

미 육군 제187보병연대 제1대대 소속 병사들이 2002년 3월 4일 아나콘다 작전 중 적군을 찾기 위해 능선을 수색하고 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락카산은 프랜시스 J. 위에르친스키 대령(후에 중장)의 지휘 아래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되어 아나콘다 작전 등에 참여했다.[10] 이 기간 동안 제2대대와 제1대대 B, C, D 중대는 전투 용맹함으로 용맹부대훈장을 수여받았다.

2003년, 락카산은 2003년 이라크 침공에 파병되었다.[10] 제3대대는 제3보병사단(미국)에 임시 배속되어 바그다드 국제공항 점령 작전에 참여하여 다섯 번째 대통령 부대 표창을 받았다.[10] 침공 후, 제3대대는 시리아 국경 근처에서 치안 작전을 수행했으며,[10] 2004년에는 제3기갑기병연대와 함께 이라크 후세이바에서 전투 작전을 수행했다.[10]

제3대대 병사들이 이라크 알부 이사에서 무기 은닉처 수색을 마친 후 블랙 호크 헬리콥터로 달려가고 있다.


이후 락카산은 니나와주 북서부에서 대부분의 작전을 수행했다.[10] 제1대대는 탈아파르 주변, 제2대대는 신자르와 바지 주변, 제3대대는 라비아에 본부를 두고 활동했다.[10]

이라크에서 진흙 벽 뒤에 숨어있는 락카산. 그들의 헬멧에는 부대의 독특한 토리이 문양 패치가 있다.


2005년 가을, 락카산은 다시 이라크 살라딘 주에서 작전 스워머를 수행하는 등 이라크 육군과 함께 반군 및 알 카에다 소탕 작전을 펼쳤다.[10]

2007년, 락카산은 다시 이라크에 파병되어 죽음의 삼각지대를 포함한 지역에서 전투 초소를 설치하고 지역 안보를 제공하며 이라크 방위군 및 경찰과 협력했다.[11][12] 2008년 11월, 락카산은 해당 지역의 안보와 권한을 이라크군에 이양하고 포트 캠벨로 복귀했다.[11][12]

2010년 1월, 락카산은 루옹 비엣 대령 지휘 하에 아프가니스탄 동부 가즈니, 팍티야, 팍티카, 호스트 주에서 12개월 동안 항구적 자유 작전을 지원하는 전투 작전을 수행하여 용맹부대훈장을 받았다.[13]

당시 락카산 기동 부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부대
제101공수사단 제3여단 전투단 본부
제187보병연대 제1대대
제187보병연대 제3대대
제320야전포병연대 제3대대
제33기병연대 제1기병대대
제626지원대대
제101공수사단 제3여단 전투단 특수부대
제172보병연대 제3대대(태스크 포스 아발란체)
제151보병연대 제2대대 B중대
제92헌병중대
제615헌병중대(2010년 4월 1일 - 2010년 4월 30일)
팍티카 주 재건팀(임시)
팍티야 주 재건팀(임시)
호스트 주 재건팀(임시)
오클라호마 육군 주 방위군 농업 개발팀(임시)
인디애나 육군 주 방위군 농업 개발팀(임시)



2016년 9월, 미 육군은 자유의 수호 작전을 지원하기 위해 제3여단 전투단 병력 약 1,400명을 아프가니스탄에 파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14]

3. 상징

방패는 파란색 바탕에 은색 구름무늬와 창백한 색을 배경으로 두 손으로 잡는 붉은색 검이 세워져 있다. 파란색은 보병을, 창백한색의 분할선은 문장학적으로 구름을 나타내며, 양손으로 잡는 검은 고대 보병 무기로서 공수 보병 부대임을 상징한다. 정점은 은색과 파란색 화환 위에 7개의 뾰족한 별이 물결 모양으로 가로지르는 붉은색 일본 도시 상징, 보라색 심장을 어깨에 새기고 오른손에 첫 번째 검을 구부려 들고 칼자루와 칼날이 세 번 잘린 금색 바다사자가 있다. 금색 바다사자는 필리핀 대통령의 문장에서 차용되었으며, 마나라왓에서의 첫 전투 강하를 기념하는 필리핀 대통령 부대 스트리머 수여를 나타낸다. 사자의 어깨에 있는 심장은 퍼플 하트 언덕에서의 작전을, 날개 달린 칼날에 세 개의 홈이 있는 칼은 필리핀에서 한 번, 한국에서 두 번, 총 세 번의 전투 강하를 나타낸다. 붉은색 다이아몬드 모양은 일본 요코하마시의 휘장으로, 187연대가 최초의 미군 전투 부대로 상륙하여 4년간 점령 임무를 시작한 것을 의미한다. 7개의 뾰족한 별은 한국 태극의 방식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한국에서의 7번의 작전을 나타낸다. 모토는 Ne Desit Virtusla(용기가 부족하지 않게 하라)이다.

이 문장은 1952년 12월 15일 제187공수보병연대를 위해 승인되었고, 1958년 2월 7일 제187보병연대로 재지정되었다.[16]

3. 1. 별명

"락카산"은 낙하산의 일본어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187보병연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을 때 붙여진 이름이다.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들을 설명하려고 했던 번역자가 일본어로 공수부대가 무엇인지 몰라 강하병, 또는 낙하산이라고 불렀다. 애매모호한 언어 사용으로 지역 주민들은 제187보병연대를 낙하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1]

한국 전쟁 70주년을 기념해 미국 국방부가 낸 퀴즈에서 "6·25전쟁에서 활약한 미 육군 공수부대는 어디인가?"의 정답으로도 나왔었는데, 당시 제187보병연대(당시는 제11공수사단 소속의 제187공수연대)는 국군과 유엔군이 북진 중이던 1950년 10월 20일, 북한군 수뇌부 생포와 퇴로 차단 그리고 유엔군 포로 구출을 목적으로 평양 북방 숙천순천에서 공수 작전을 펼쳤다.[1]

3. 2. 문장 (Coat of arms)

방패는 파란색 바탕에 은색 구름무늬와 창백한 색을 배경으로 두 손으로 잡는 붉은색 검이 세워져 있다. 정점은 은색과 파란색 화환 위에 일본 도시 상징인 붉은색과 7개의 뾰족한 별이 물결 모양으로 가로지르고, 마지막으로 두 번째 별이 가로지르고, 보라색 심장을 어깨에 새기고 오른손에 첫 번째 검을 구부려 들고, 칼자루와 칼자루가 네 번째이고, 칼날이 세 번 잘린 금색 바다사자가 있다. 모토는 Ne Desit Virtusla(용기가 부족하지 않게 하라)이다.




상징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방패:
  • * 파란색은 보병을 의미한다.
  • * 창백한색의 분할선은 문장학적으로 구름을 나타내고, 양손으로 잡는 검은 고대 보병 무기로, 이 부대가 공수 보병 부대임을 상징한다.
  • 정점:
  • * 금색 바다사자는 필리핀 대통령의 문장에서 차용되었으며, 187연대의 첫 번째 전투 강하가 있었던 마나라왓에서의 작전을 기념하기 위한 필리핀 대통령 부대 스트리머의 수여를 나타낸다.[1]
  • * 사자의 어깨에 있는 심장은 퍼플 하트 언덕에서의 작전을 나타낸다.[1]
  • * 날개 달린 칼날에 세 개의 홈이 있는 칼은 필리핀에서 한 번, 한국에서 두 번, 총 세 번의 전투 강하를 한 부대의 전적을 나타낸다.[1]
  • * 붉은색 다이아몬드 모양은 187연대가 최초의 미군 전투 부대로 상륙하여 4년간의 점령 임무를 시작한 일본 요코하마시의 휘장이다.[1]
  • * 7개의 뾰족한 별은 한국 태극의 방식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그 나라에서의 부대의 7번의 작전을 나타낸다.[1]


이 문장은 원래 1952년 12월 15일 제187공수보병연대를 위해 승인되었다. 이후 1958년 2월 7일 제187보병연대로 재지정되었다.[1]

3. 3. 인식표

제187보병연대 소속 병사들은 일본에 강하한 부대를 기리기 위해 토리이 패치나 디자인을 헬멧에 비공식적으로 착용했다.[16]

4. 역대 지휘관 및 주요 인물


  • 윌리엄 웨스트모어랜드 대장: 한국 전쟁 중 1952년 11월부터 1953년까지 라카산을 지휘했으며, 이후 주 베트남 미국 군사 지원 사령부를 지휘하고 미국 육군 참모총장을 역임했다.[1]
  • 데이비드 퍼트레이어스 대장: 전 제3대대 지휘관, 이후 중앙정보국(CIA) 국장[1]
  • 멜빈 자이스 대장: 베트남에서 제101공수사단을 지휘했다.[1]
  • 노먼 슈워츠코프 주니어 대장: 걸프 전쟁 중 연합군 지휘관, 1950년대에 잠시 중대 행정 장교를 지냈다.[1]
  • 로버트 L. 캐슬런 주니어 중장: 제1차 걸프 전쟁의 라카산 참전 용사로, 이후 미국 육군사관학교 교장을 역임했다.[1]
  • 마이클 D. 스틸 대령: 전 제187연대 지휘관, 모가디슈 전투에서 레인저 중대를 지휘했다.[1]
  • 로널드 스피어스(Ronald Speirs) 중령: 전 제506낙하산보병연대 E중대 지휘관, 토마호크 작전 중 제187연대 전투단 소속 소총 중대 지휘관으로 복무했다.[1]
  • 폴 W. 부차 대위: 명예 훈장 (베트남)[1]
  • 조지 W. 더너웨이 육군 원사: 두 번째 육군 원사, 1954년부터 1960년까지 제187연대 주임 원사였다.[1]
  • 에릭 J. 게레시(Eric J Geressy) 상사 (이라크): 은성 무공 훈장, 동성 무공 훈장 3개, 용맹을 위한 육군 표창[1]
  • 앨버트 블라이스 특무 상사: 제2차 세계 대전 제506낙하산보병연대 소속, TV 시리즈 밴드 오브 브라더스에 묘사됨[1]
  • 레스터 해먼드 주니어 상병: 명예 훈장 (한국)[1]
  • 찰스 로키(Charles Lockie) 중령: 은성 무공 훈장 및 동성 무공 훈장 (한국)[1]
  • 로돌포 P. 에르난데스 상병: 명예 훈장 (한국)[1]
  • 라이언 A. 콘클린 병장: 리얼리티 TV 스타이자 2005-2006년 이라크 파병 중 A중대 3/187 보병을 기록한 "지옥에서 온 천사"의 저자[1]
  • 리처드 G. 윌슨 일등병: 명예 훈장 (한국)[1]
  • 스티븐 플레미 일등병: 은성 무공 훈장 (한국), 이후 윈터 힐 갱 조직원이 되었다가 FBI 정보원이 되었다.[1]

5. 한국과의 관계

별명인 "락카산"은 낙하산의 일본어 표기에서 유래한 것으로, 제187보병연대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본에 주둔했을 때 붙여진 이름이다. 지역 주민들에게 자신들을 설명하려고 했던 번역자가 일본어로 공수부대가 무엇인지 몰라 강하병, 또는 낙하산이라고 불렀다. 애매모호한 언어의 사용으로 지역 주민들은 제187보병연대를 낙하산이라는 별칭으로 불렀다.

현재 제101공수사단 예하 연대인 제187보병연대(당시는 제11공수사단 소속의 제187공수연대)는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한국 전쟁 70주년을 기념해 미국 국방부가 낸 퀴즈에서, "6·25전쟁에서 활약한 미 육군 공수부대는 어디인가?"의 정답으로도 나왔었는데 당시 제187공수연대는 국군과 유엔군이 북진 중이던 1950년 10월 20일, 북한군 수뇌부 생포와 퇴로 차단 그리고 유엔군 포로 구출을 목적으로 평양 북방 숙천순천에서 공수 작전을 펼쳤다.

6·25전쟁 이후 제11공수사단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자주 변경되다가 1964년, 제101공수사단 예하 부대로 소속이 변경된 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2] 웹사이트 187th Airborne http://www.korean-wa[...]
[3] 서적 The Rakkasans: The Combat History of the 187th Airborne Infantry https://books.google[...] Random House Publishing Group
[4] 웹사이트 History of the 511th Airborne Regiment http://www.thedropzo[...]
[5] 문서 Flanagan, p. 345.
[6] 웹사이트 Iron Rakkasans: 50 years later https://www.army.mil[...] US Army 2017-09-15
[7] 서적 Vietnam Order of Battle Galahad Books
[8] 웹사이트 Major https://apps.dtic.mi[...] School of Advanced Military Studies, United States Army Command and General Staff College
[9] 웹사이트 Operation Desert Focus http://www.globalsec[...]
[10] 웹사이트 DefenseLINK press release http://www.defenseli[...]
[11] 뉴스 17th IA MiTT helps Iraqi partners with transition 2008-08-14
[12] 뉴스 Rakkasans: South Baghdad ready for transition 2008-08-07
[13] 웹사이트 Permanent Order 141-17 https://history.army[...] Department of the Army 2013-05-21
[14] 웹사이트 Army to Deploy 101st Airborne Soldiers to Afghanistan http://www.military.[...] military.com 2016-09-06
[15] 웹사이트 Army to Deploy 101st Airborne Soldiers to Afghanistan Military.com http://www.military.[...]
[16] 웹사이트 This is why Screaming Eagles wear cards on their helmets https://www.wearethe[...] 2021-12-21
[17] 웹사이트 187th Airborne http://www.korean-wa[...]
[18] 웹사이트 1st Battalion, 187th Infantry Regiment Lineage and Honors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19] 웹사이트 187th Infantry https://history.army[...]
[20] 웹사이트 2d Battalion, 187th Infantry https://history.army[...]
[21] 웹사이트 3d Battalion, 187th Infantry Regiment Lineage and Honors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https://history.army[...]
[22] 웹사이트 3d Battalion, 187th Infantry Regiment | Lineage and Honors | U.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CMH) http://www.history.a[...]
[23] 웹사이트 1st Battalion, 187th Infantry http://www.history.a[...]
[24] 웹사이트 Superintendent's Biography United States Military Academy West Point http://www.usma.edu/[...]
[25] 웹사이트 Eric Geressy - Recipient http://valor.militar[...]
[26] 웹사이트 Charles Lockie Obituary - College Station, TX https://www.dignitym[...]
[27] 웹사이트 An Angel From Hell http://www.AnAngelFr[...]
[28] 웹인용 Special Unit Designations http://www.history.a[...] United States Army Center of Military History 2010-04-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